함께 성장하는 교육복지
교육의 힘으로 더불어 행복한 제천교육
아이꿈이 성장하는 행복유아교육
- 행복한 성장을 돕는 유아·놀이 중심 교육 강화
- 현장중심 맞춤형 지원으로 유아교육 공공성 강화
주요내용
- 행복한 성장을 돕는 유치원 교육과정
- 제천유아교육운영계획 편성·운영 지원: 34 공·사립유치원
- 유아·놀이 중심 교육을 통한 교육과정 내실화
- 유치원 수업지원교사 활용을 통한 유아교육 안정화
- 유치원 현장중심 맞춤형 장학 지원: 34 공·사립유치원
- 참여와 소통의 유치원 교원 역량강화
-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 시행
- 유아교육 전문적학습공동체 운영 활성화
- 유치원 교원 역량강화 연수: 4회(4, 5, 6, 10월)
- 사립유치원 1급 정교사 자격연수 지원
- 유치원 맞춤형 방과후 과정
- 쉼과 놀이중심 방과후 과정 운영 내실화
- 유치원 방과후 과정 운영 지원: 공·사립유치원 34원
- 방학 중 방과후 과정 운영
- 유치원 돌봄교실 운영
- 유아교육 공공성 강화
- 다문화 가정 유아 지원을 위한 중심유치원 운영: 2원
- 소규모 유치원 공동 운영: 11원
- 유아교육 행복지구 네트워크 운영
- 공·사립유치원 학부모 교육: 2회
- 사립유치원 공공성 강화 및 안정적 지원
- 유치원 입학관리시스템「처음학교로」운영: 공·사립유치원 34원
- 유치원 행복나누미 운영
예산운영계획
(단위: 천원)
추진사업 | 예산 | 집행액 | 비고 |
---|---|---|---|
행복한 성장을 돕는 유치원 교육과정 | 0 | ||
참여와 소통의 유치원 교원 역량강화 | 3,500 | ||
유치원 맞춤형 방과후 과정 | 0 | ||
유아교육 공공성 강화 | 15,000 | ||
계 | 18,500 |
기대효과
- 유아의 행복한 성장을 위한 제천유아교육 실현
- 교육과정·방과후과정 운영 지원으로 유아교육 공공성 강화
- 개정 누리과정 운영을 위한 현장지원체제 강화로 유아교육의 질적 수준 제고
- 유치원 간 협력을 통한 유치원 운영의 효율성 제고로 교육격차 완화 및 유아교육 서비스 수준 향상
통합과 자립의 특수교육
- 특수교육대상자 인권존중 문화 정착으로 통합교육 기반 조성
- 특수교육대상자 교육기회 확대로 차별과 소외 없는 교육복지 실현
주요내용
- 특수교육 맞춤형 자율장학
- 단위학교 특수교육 교육과정 수립 및 운영 지원
- 현장중심 특수교육 맞춤형 장학 운영: 4월
- 교육지원청 특수교육 맞춤형 컨설팅단 운영
- 신규 및 저경력 교사 대상 맞춤형 장학 및 멘토링제 운영 - 특수교육 연구활동 지원: 3월
- 제천 특수교육 전문적학습공동체 운영 지원 - 특수교육 대상자 개별화교육 강화: 연중
- 개별화교육계획 수립 및 운영 컨설팅 실시: 미설치교, 저경력 교사 등
- 개별화교육계획 운영 현장점검
- 특수교육 환경 및 교육여건 개선
- 특수교육 보조인력 지원
- 특수교육실무사, 장애학생지원 사회복무요원, 특수교육자원봉사자 지원 - 특수교육대상자 순회교육 지원
- 특수학급 미설치학교 배치 특수교육대상자
- 특수교육지원센터 배치 영아
- 일반학급 배치 특수교육대상자 - 특수교육대상자 통학비 지원: 학생 1일 2회, 학부모 1일 최대 4회
- 특수교육 방과후학교 운영 지원
- 특수교육 맞춤형 방과후학교 운영 지원: 1인당 월 12만원
- 특수교육 종일반 방과후학교 운영 지원: 3교 3학급
- 특수교육 종일반 방과후학교 운영 지원: 급당 운영비 7,000천원 - 특수교육대상자 치료지원 서비스 지원
- 특수교육대상자 내부치료지원 및 치료바우처 지원
- 읍면 지역 특수교육대상자 내부(순회)치료지원(지원영역: 언어치료)
- 치료바우처 1인당 월 12만원 지원
- 특수교육 보조인력 지원
- 특수교육대상자 인권친화적 기반 마련
- 특수교육대상자 인권지원단 운영
- 장애학생 인권지원단 정기지원 월 1회 이상
- 장애학생 인권침해 및 성관련 피해 예방을 위한 상시 모니터링 실시
- 장애학생 인권지원단 특별지원 실시: 사안 발생시
- 특별지원 조치에 따른 가족 및 학생 심리지원: 사안 발생시
- 장애학생 인권지원단 협의회 및 간담회 실시: 3회(3, 9, 12월)
- 더봄학생 경찰서와 연계 지원 요청: 1회(3월)
- 비장애학생 대상 찾아가는 장애학생 인권보호교육 지원: 34회
- 장애학생 대상 찾아가는 장애학생 성교육 지원: 30회
- 특수교육지원인력 대상 통합교육 및 인권보호 연수: 1회(6월)
- 특수교육담당교사 연수 지원: 1회(6월) - 통합교육지원단 운영
- 특수, 통합교사 대상 통합교육운영 컨설팅: 5회
- 통합교육 컨설팅과 연계한 가족 및 학생 심리지원: 12회
- 교직원 대상 통합교육 및 인권보호 연수: 2회(4, 9월)
- 일반교사(통합교육담당교사) 대상 원격직무연수: 1회(4월)
- 통합교육 활동(중, 고): 10회
- 특수교육대상자 인권지원단 운영
- 특수교육대상자 성공적 사회통합
- 진로직업프로그램 운영
- 관내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위한 진로체험프로그램 운영: 1회(7월)
- 특수교육대상학생 진로직업교육 특수교사 연수: 1회(10월) - 장애학생 가족지원 및 부모상담 프로그램 운영
- 학부모 심리치료 프로그램 운영(중, 고): 10명 대상, 1회(5월)
- 입학적응(초등) 학생 학부모 체험프로그램 운영(유, 초): 학생 학부모 1회(여름방학 중)
- 장애학생 형제자매프로그램 운영(유, 초, 중, 고): 10명, 3회(9월) - 특수교육대상자 문화·예술 · 체육활동 지원
- 찾아가는 통합요리교실 운영: 20회(4~7월)
- 찾아가는 문화예술체육 교실 지원: 12회(5~10월)
- 방학 중 문화예술체육 프로그램 운영: 1회(여름방학 중)
- 진로직업프로그램 운영
예산운영계획
(단위: 천원)
추진사업 | 예산 | 집행액 | 비고 |
---|---|---|---|
특수교육 맞춤형 자율장학 | 0 | ||
특수교육 환경 및 교육여건 개선 | 642,424 | ||
특수교육대상자 인권친화적 기반 마련 | 17,000 | ||
특수교육대상자 성공적 사회통합 | 18,000 | ||
계 | 677,424 |
기대효과
- 연수, 컨설팅, 동아리 활동 등을 통한 특수교사의 전문성 향상
- 특수교육대상학생 교육환경 개선 및 지원 확대를 통한 특수교육 만족도 제고
- 특수교육 구성원의 인식변화를 통한 통합교육 환경 조성
- 미래사회 대비 진로체험활동 운영을 통한 사회통합 기반 마련
미래희망 더하기 방과후학교
- 다양한 방과후학교 교육프로그램 운영과 돌봄서비스 제공
- 지역자원을 활용한 마을방과후학교 및 지역돌봄교실 운영
주요내용
- 꿈과 희망을 더하는 방과후학교
- 행복한 방과후학교 우수프로그램 운영: 신청학교 중 선정
- 농산촌 방과후학교 운영: 초 11교, 중 7교, 고 1교
- 방과후학교 활성화 지원사업 운영: 신청학교 중 선정
- 방과후학교 담당교사 연수: 연 1회
- 방과후학교 교육비 지원
- 방과후학교 내실화를 위한 지원체제
- 방과후학교지원센터 운영
- 방과후학교 컨설팅
- 지역중심 마을방과후학교 운영
- 교육기부 활성화 추진
- 온 마을이 함께하는 초등돌봄교실
- 오후·저녁돌봄교실 운영 지원
- 방과후학교 연계형 돌봄교실 운영
- 지역연계 돌봄교실 운영
- 돌봄교실 시설 구축 및 노후시설 개선비 지원
- 초등학교 돌봄전담사 및 지역돌봄기관 생활복지사 연수: 연 1회
예산운영계획
(단위: 천원)
추진사업 | 예산 | 집행액 | 비고 |
---|---|---|---|
꿈과 희망을 더하는 방과후학교 | 603,479 | ||
방과후학교 내실화를 위한 지원체제 | 6,000 | ||
온 마을이 함께하는 초등돌봄교실 | 0 | ||
계 | 609,479 |
기대효과
- 학교와 지역 특성을 반영한 방과후학교 운영으로 학생 및 학부모 만족도 제고
- 방과후학교 우수프로그램 운영을 통한 사교육비 경감 및 교육격차 완화
- 지역중심 마을방과후학교 운영을 통한 지역학생의 다양한 소질계발에 기여
- 지역 연계기관과의 협업을 통한 돌봄 사각지대 제로화에 기여
나눔과 채움의 교육복지
- 균등한 교육기회 제공으로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교육복지 실현
- 문화다양성 교육과 맞춤형 교육으로 더불어 살아가는 공동체 역량강화
주요내용
- 학부모부담 공교육비 지원
- 저소득층 현장체험학습비(수학여행, 수련활동) 지원: 5~6월
- 저소득층 교복비 지원: 4월
- 초·중·고 저소득층자녀 및 다자녀학생 교육비 지원: 4월
- 맞춤형 교육급여 지원: 연중(매월)
- 저소득층 교육정보화 지원: 컴퓨터 및 통신비
- 2020학년도 컴퓨터 및 통신비 지원대상자 선정(6월) - 유·초·중·특수 무상급식비 지원: 50교(사립유 12, 초 24, 중 13, 특수 1)
- 유아학비(누리과정) 지원: 34원(공립 22, 사립 12), 원아 1인당 290천원
(누리과정 220천원, 방과후과정 70천원)
- 더불어 잘사는 문화다양성교육
- 다문화교육 정책학교 지원
- 한국어학급 멘토링 지원
- 다문화학생집중교 교원연수비 지원
- 다문화교육 교원역량강화연수 1회
- 탈북학생 맞춤형 교육지원 프로그램 운영
- 제천시건강가정·다문화가족지원센터 연계 다문화 이해교육 지원
- 지역 중심 적정규모학교 육성
- 지역중심 적정규모학교 육성
- 작은학교 공동(일방)학구제 운영: 신백·내토초 → 두학초, 명지초 → 청풍초
- 찾아가고 싶은 농산촌 특색학교 조성
- 공립유치원·초등학교 통학차량 지원: 공립유 5원 6대, 초 11교 19대
- 통학차량 공동이용 활성화
- 상생하는 교육복지
- 충북형 교육복지모델 구체화
- 맞춤형복지 통원치료 보장
- 사회적 기업제품 우선구매 활성화
- 평생교육 지원 및 평생학습관 운영 지원
-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운영 지원
예산운영계획
(단위: 천원)
추진사업 | 예산 | 집행액 | 비고 |
---|---|---|---|
학부모부담 공교육비 지원 | 313,143 | ||
더불어 잘사는 문화다양성교육 | 0 | ||
지역중심 적정규모학교 육성 | 1,040,860 | ||
상생하는 교육복지 | 513,900 | ||
계 | 1,867,903 |
기대효과
- 투명한 유아학비 집행을 통한 정부예산 집행의 적절성 제고
- 공교육비 지원으로 학부모 부담 경감 및 교육복지 증진
- 균등한 교육기회 제공 및 저소득층 학생 교육격차 해소
- 다문화 및 탈북학생의 맞춤형 교육지원으로 글로벌 인재 육성
- 적정규모학교 육성을 통한 농산촌소규모학교의 교육여건 개선 및 교육복지 증진
- 농산촌학교 통학차량 지원으로 교육 접근성 보장 및 안전한 통학 여건 조성
- 교육복지를 통한 취약계층 학생의 삶의 질 향상 및 교육성취 수준 제고
- 정보담당자
- 교육과
유초등교육팀
(043)640-6650
- 교육과
- 인쇄자정보
- 출력일 : 2021-02-28 00:17:40 출력자 : 손님 출력IP : 34.237.124.210